좋은땅 출판사가 ‘이게 나라냐’를 펴냈다. 이 책은 저자 박노문이 은퇴 후 써 모은 이야기들을 묶은 책이다. 19편의 단편소설 가운데 대다수가 사회적 이슈를 다루고 있다. 저자의 주관적인 생각을 담은 것이 아닌 사회적 이슈에 대한 관심을 이야기 형태로 풀어냈다. 세상에는 다양한 모순과 진실의 이야기가 있다. 어느 사건이든 보는 각도에 따라 모순으로 보이기도, 진실로 보이기도 한다. 저마다의 이야기가 있고 사정이 있는 것이다. 저자는 사회의 이슈들을 다양한 각도로 보며 무엇이 옳고 그른지, 나라면 어떻게 했을지를 생각하게 한...
전통공연예술진흥재단(이사장 정성숙)은 공연예술계 분야별 협회*와 함께 코로나19 장기화로 침체된 공연예술분야 활성화를 위해 현장에서 필요로 하는 전통예술분야 예술인력 350명의 채용을 추가로 지원한다. * 한국연극협회, 한국뮤지컬협회, 한국음악협회, 한국무용협회, 전통공연예술진흥재단 5개 기관 문화체육관광부(장관 황희)와 한국문화예술위원회(위원장 박종관)가 추진하는 ‘공연예술분야 인력지원 사업’은 코로나19로 침체된 환경에 놓인 예술가들이 안정적으로 예술활동을 지속할 수 있도록 일자리를 제공하는 ‘채용’의 형태로 진행한다. ...
좋은땅 출판사가 ‘조선은 사또의 나라다’를 펴냈다. 춘향이에게 “수청을 들라”고 말하는 사또, 그리고 암행어사 이몽룡에게 된통 당하는 사또는 너무 유명해 춘향전을 읽지 않은 사람들에게도 익숙한 이 장면으로 ‘변사또’는 ‘사또’를 대표하는 인물이 됐다. 더불어 다양한 시대극에서 사또는 백성을 착복하고 비리를 저지르는 관리로 자주 비쳐졌고, 그 덕에 지금껏 사또는 많은 사람에게 탐관오리의 전형으로 인식돼 있다. 저자는 이렇게 단순히 부패한 관리라는 평면적인 인식을 벗고, 한 사람으로서 그리고 왕을 대신했던 관리자로서 사또가...
국립극장(극장장 김철호)은 9월부터 국립극장 공연영상화사업 ‘가장 가까운 국립극장’ 사업의 일환으로 국립극장 우수 레퍼토리 공연실황 영상을 롯데시네마와 웨이브(wavve)를 통해 상영한다. ‘가장 가까운 국립극장’ 사업은 국립극장 우수 공연의 고품질 실황 영상 제작·유통을 통해 우리 전통공연 예술의 저변을 확대하고 장기적으로 앞으로 우리 문화의 해외 진출 기여를 목표로 하고 있다. 국립극장은 기존 공연실황 영상을 자체 SNS 채널 내 일시적으로 공개하던 방식에서 벗어나 국민들이 어디서나 손쉽게 국립극장 공연을 접할 수 있도...
인터넷 서점 알라딘은 자사의 8월 첫 주 베스트셀러 2~6위를 모두 한국소설이 차지했다고 전했다. 이미예, 최은영, 김초엽, 정유정 등 기존에 독자들로부터 큰 사랑을 받아온 저자들이 6~7월에 걸쳐 신작 소설을 꾸준히 출간해온 덕분이다. 특히 3일 예약 판매를 개시한 김초엽의 첫 장편 소설 ‘지구 끝의 온실’은 예약 판매 개시 이틀간의 판매량만으로도 주간 베스트셀러 4위에 올랐다. 지구 끝의 온실은 멸망한 이후의 세계인 ‘더스트 시대’를 다룬 SF 소설로 20만 부가 판매된 첫 소설집 ‘우리가 빛의 속도로 갈 수 없다면’ 이...